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이름 항렬표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by 매우현명2 2025. 9. 2.
반응형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추석은 한 해 농사의 결실을 거두고 조상님께 감사드리는 뜻을 담은 한국의 대표 명절입니다.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음식을 나누고 차례를 지내는 과정은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세대와 세대를 잇는 중요한 전통이기도 합니다. 특히 추석 차례상은 형식적인 절차가 아닌 정성과 예를 다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자리이므로, 올바른 차림과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이번 글에서는 추석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 종류, 차례상 차리는 방법, 그리고 전통적으로 지켜야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단순히 음식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순서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신위에서 가까운 순서로 놓는다’는 원칙을 따르며, 음식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신위 방향: 상의 북쪽, 즉 조상님 쪽에 신위를 모십니다.
  • 밥과 술: 중앙에 위치하며, 이는 조상님께 올리는 가장 중요한 공양입니다.
  • 탕과 적: 고기나 생선을 이용한 국, 꼬치 음식이 신위 가까이에 놓입니다.
  • 포와 나물: 그 옆에 자리를 잡습니다.
  • 과일과 떡: 가장 바깥쪽에 위치해 풍요와 감사의 의미를 더합니다.

차례상은 대개 5열로 나누어 배치합니다.

  1. 첫째 줄 (신위 앞): 밥, 국, 술잔.
  2. 둘째 줄: 고기전, 생선전, 탕 등.
  3. 셋째 줄: 육포, 명태포, 나물류.
  4. 넷째 줄: 송편, 인절미, 약식 같은 떡류.
  5. 다섯째 줄: 사과, 배, 감, 밤 같은 과일류.

차례상에 올리는 대표 음식들

적(炙)과 탕(湯)

  • : 쇠고기, 돼지고기, 생선 등을 꼬치에 꿰어 구운 음식으로, 없을 경우 전이나 고기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 : 맑은 국을 뜻하며, 보통 소고기·닭고기·생선을 이용해 담백하게 끓입니다.

포(脯)

  • 육포, 명태포 등이 대표적입니다. 고대 제사 문화에서 비롯된 음식으로, 조상님께 드리는 정성을 상징합니다.

나물

  •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등. 기름지지 않게 담백하게 조리해야 하며,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습니다.

  • 추석 대표 떡인 송편을 비롯해 약식, 인절미 등을 올립니다. 송편은 반달 모양으로, 속에는 팥, 깨, 콩 등이 들어갑니다.

과일

  • 사과, 배, 감, 밤, 대추 등 제철 과일을 사용합니다.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추석 전(煎)의 종류와 의미

추석 차례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 바로 입니다. 전은 다양한 재료에 밀가루와 달걀 옷을 입혀 구워낸 음식으로, 풍요로운 의미를 담습니다.

  • 육전: 얇게 저민 소고기에 달걀옷을 입혀 구운 것.
  • 동태전: 동태살을 얇게 저며 구워낸 전.
  • 호박전: 애호박을 얇게 썰어 담백하게 구운 전.
  • 깻잎전: 다진 고기나 두부를 깻잎에 넣고 부친 전.
  • 고추전: 풋고추를 갈라 속을 채워 부친 음식.

이외에도 버섯전, 두부전 등 다양한 전이 올라갑니다. 전은 식구들이 함께 나누며 풍성함을 기리는 의미가 있습니다.


차례상 차리기 규칙과 주의사항

음식 재료와 조리 규칙

  1. 향신료 사용 금지
    • 고춧가루, 마늘은 귀신을 쫓는다고 여겨 사용하지 않습니다.
    • 간장은 삼삼하게, 소금은 최소한만 사용합니다.
  2. 생선 선택 규칙
    • ‘-치’로 끝나는 갈치, 꽁치, 삼치는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 조기, 민어, 숭어 같은 ‘-어’, ‘-기’로 끝나는 생선을 올립니다.
    • 비늘 없는 장어나 매기 등은 불길하다 하여 제외합니다.
  3. 과일 규칙
    • 복숭아처럼 털이 있는 과일은 제외합니다.
    • 사과, 배, 감, 대추, 밤 등은 꼭 홀수 개로 올립니다.
  4. 짝수·홀수 규칙
    • 제사상은 ‘음(陰)’을 상징하기 때문에 음식은 홀수 개로 맞춥니다.
    • 과일이나 떡은 반드시 3개, 5개, 7개 등으로 준비합니다.

배치 규칙

  • 동쪽(좌)에는 붉은색, 서쪽(우)에는 흰색.
  • 남쪽에는 과일, 북쪽에는 국.
  • 오른쪽에는 육류, 왼쪽에는 어류를 배치합니다.

차례상 차리는 과정 요약

  1. 신위를 모신 뒤, 밥·국·술을 중앙에 놓는다.
  2. 두 번째 줄에 고기류와 국, 전을 올린다.
  3. 세 번째 줄에는 포와 나물.
  4. 네 번째 줄에는 떡류.
  5. 마지막 줄에는 과일을 배치한다.
  6. 모든 음식은 정갈하고 홀수로 준비하며, 따뜻하게 올린다.

결론

추석 차례상은 단순한 상차림이 아니라 조상님에 대한 감사와 가족의 화목을 기원하는 깊은 의미가 담긴 전통입니다. 음식을 준비할 때는 규칙과 의미를 존중하며, 무엇보다 정성과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 현대에는 차례상을 간소화하는 경우도 많지만, 전통의 뿌리를 잊지 않고 세심하게 준비한다면 조상님께 진심을 전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