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어원 문학 시 역사

전주이씨 항렬표, 항렬, 돌림자

by 하누혀누2 2025. 7. 10.
반응형

전주이씨 항렬표, 항렬, 돌림자 총정리

조선을 세운 왕족 전주이씨 ‘돌림자’는 어떻게 이어질까?

전주이씨 항렬표, 항렬, 돌림자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조선 태조 이성계를 비롯해 27명의 왕과 왕비, 873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한 거대 문중입니다. 2015년 기준 약 263만 명으로 한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기도 합니다.

항렬(行列)은 같은 혈통 안에서 세대별로 공유하는 한 글자 이름자, 즉 ‘돌림자’입니다. 항렬자를 보면 “몇 대 위·아래”인지를 바로 알아 혈연 질서를 지켰고, 조선 왕실은 물론 일반 양반가에도 널리 퍼졌습니다.


전주이씨 항렬표의 큰 틀

전주 이씨는 조선 왕실 직계-방계의 분파만 122파에 달합니다. 그중에서도 왕자 ‘○○대군·○○군’을 파조로 한 파(派)가 대부분이라 항렬 체계가 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전주이씨 29세 이후에는 공통 패턴이 눈에 띕니다.

세수 공통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자(字) 비고
29세 령(齡)·거(據)·기(岐) 등 분파별 편차가 큼
30세 린(麟)·종린(宗麟)·수(秀)…  
31세 석/진/주 등 + ‘린(麟)’ 파생  
32세 오(澳)·경(儆)·정(貞)  
33세 두한(斗漢)·련(鍊)·인령(引齡)  
41세 재(載) 이후는 거의 전 파가 동일
42세 용(鎔)  
43세 해(海)  
44세 주(柱)  
45세 우(遇)  
46세 기(基)  
47세 의(義)  
48세 운(雲)  
49세 종(種)  
50세 희(熙)  
51세 교(敎/交)  

TIP 1 현재 생존 세대(44~48세 무렵)가 ‘주-우-기-의-운’을 쓰므로, 예를 들어 이름에 ‘주’가 들어가면 44세(조선 태조 22대손)임을 뜻합니다.
TIP 2 왕실 직계파(덕흥대원군파·소현세자파)는 33세부터 ‘조-응-재-용…’으로 이어집니다.

전주이씨 계보도


주요 분파별 전주 이씨 항렬, 돌림자

자세한 전주 이씨 항렬은 예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1) 효령대군파 (태종 둘째 아들)

  • 31세 : 석(錫)
  • 32세 : 오(澳)
  • 33세 : 두한(斗漢)

2) 덕흥대원군파 (고종 조부)

  • 31세 : 초(楚)
  • 32세 : 정(正)
  • 33세 : 인령(引齡)
  • 34세 : 돈(惇)

3) 소현세자파 (효종 형)

  • 33세 : 조(祚)
  • 41세 이후 : 재-용-해…(공통)

4) 양녕대군파 (태종 장남)

  • 29세 : 령(齡)
  • 30세 : 린(麟)
  • 31세 : 석령(錫齡)

5) 임영대군파 (세종 넷째 아들)

  • 31세 : 진(瑨)
  • 32세 : 경(儆)
  • 33세 : 련(鍊)

임영대군 가계도

전주이씨 소현세자파 가계도

위 항렬자는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검색 시스템과 각 파 종중 홈페이지 표기를 종합해 정리했습니다.


항렬자를 정할 때 주의할 점

  1. 同音異字 금기 : 같은 세대라도 한자까지 동일해야 합니다. ‘基’ 대신 ‘起’를 쓰면 항렬이 어긋난 것으로 간주됩니다.
  2. 항렬-존함 병기 : 현대에는 흔히 두 글자 이름 가운데 뒤 글자를 항렬자로 넣지만, 조선 전기에는 첫 글자를 돌림자로 쓰는 예도 많았습니다.
  3. 분파 확인 : 전주 이씨 종친회 홈페이지에서 파조를 먼저 확인한 뒤 항렬표를 찾는 것이 정확합니다.

전주 이씨 ‘돌림자’가 남긴 문화적 의미

  • 왕권 관리자 : 동성 친인척 간 항렬 통일로 왕실 서열을 명확히 했습니다.
  • 가족법 : 조선 혼인 금혼범위(八寸) 계산에 필수 자료였으며, 항렬이 같으면 같은 촌수로 간주했습니다.
  • 현재적 가치 : 가족 카톡방·족보 앱에서도 항렬자가 세대를 잇는 상징으로 활용됩니다.

결론

항렬은 단순한 ‘돌림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전주 이씨 사례처럼, 한 글자 속에는 왕조의 정치·사회·문화사가 켜켜이 들어 있습니다. 오늘 우리 이름에도 600년 전 조상들이 설계한 세대 표식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은, 이름이야말로 ‘역사와 현재를 잇는 가장 작은 문화유산’임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