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 항렬표, 항렬, 돌림자 총정리
조선을 세운 왕족 전주이씨 ‘돌림자’는 어떻게 이어질까?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조선 태조 이성계를 비롯해 27명의 왕과 왕비, 873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한 거대 문중입니다. 2015년 기준 약 263만 명으로 한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기도 합니다.
항렬(行列)은 같은 혈통 안에서 세대별로 공유하는 한 글자 이름자, 즉 ‘돌림자’입니다. 항렬자를 보면 “몇 대 위·아래”인지를 바로 알아 혈연 질서를 지켰고, 조선 왕실은 물론 일반 양반가에도 널리 퍼졌습니다.
전주이씨 항렬표의 큰 틀
전주 이씨는 조선 왕실 직계-방계의 분파만 122파에 달합니다. 그중에서도 왕자 ‘○○대군·○○군’을 파조로 한 파(派)가 대부분이라 항렬 체계가 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전주이씨 29세 이후에는 공통 패턴이 눈에 띕니다.
세수 | 공통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자(字) | 비고 |
29세 | 령(齡)·거(據)·기(岐) 등 | 분파별 편차가 큼 |
30세 | 린(麟)·종린(宗麟)·수(秀)… | |
31세 | 석/진/주 등 + ‘린(麟)’ 파생 | |
32세 | 오(澳)·경(儆)·정(貞) | |
33세 | 두한(斗漢)·련(鍊)·인령(引齡) | |
41세 | 재(載) | 이후는 거의 전 파가 동일 |
42세 | 용(鎔) | |
43세 | 해(海) | |
44세 | 주(柱) | |
45세 | 우(遇) | |
46세 | 기(基) | |
47세 | 의(義) | |
48세 | 운(雲) | |
49세 | 종(種) | |
50세 | 희(熙) | |
51세 | 교(敎/交) |
TIP 1 현재 생존 세대(44~48세 무렵)가 ‘주-우-기-의-운’을 쓰므로, 예를 들어 이름에 ‘주’가 들어가면 44세(조선 태조 22대손)임을 뜻합니다.
TIP 2 왕실 직계파(덕흥대원군파·소현세자파)는 33세부터 ‘조-응-재-용…’으로 이어집니다.
주요 분파별 전주 이씨 항렬, 돌림자
자세한 전주 이씨 항렬은 예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전주 이씨 항렬표
- ·안천대군파(安川大君派) 항렬표
- ·안원대군파(安原大君派) 항렬표
- ·안풍대군파(安豊大君派) 항렬표
- ·안창대군파(安昌大君派) 항렬표
- ·안흥대군파(安興大君派) 항렬표
- ·함녕대군파(咸寧大君派) 항렬표
- ·함창대군파(咸昌大君派) 항렬표
- ·함원대군파(咸原大君派) 항렬표
- ·함천대군파(咸川大君派) 항렬표
- ·함릉대군파(咸陵大君派) 항렬표
- ·함양대군파(咸陽大君派) 항렬표
- ·함성대군파(咸城大君派) 항렬표
- ·완원대군파(完原大君派) 항렬표
- ·완창대군파(完昌大君派) 항렬표
- ·완용대군파(完用大君派) 항렬표
- ·완성대군파(完城大君派) 항렬표
-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 항렬표
-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항렬표
- ·진안대군파(鎭安大君派) 항렬표
- ·익안대군파(益安大君派) 항렬표
- ·회안대군파(懷安大君派) 항렬표
- ·의안대군파(宜安大君派) 항렬표
- ·의평군파
- ·순평군파(順平君派) 항렬표
- ·선성군파(宣城君派) 항렬표
- ·종의군파(從義君派) 항렬표
- ·진남군파(鎭南君派) 항렬표
- ·수도군파(守道君派) 항렬표
- ·임언군파(林堰君派) 항렬표
- ·석보군파(石保君派) 항렬표
- ·덕천군파(德泉君派) 항렬표
- ·임성군파(任城君派) 항렬표
- ·도평군파(桃平君派) 항렬표
- ·장천군파(長川君派) 항렬표
- ·정석군파(貞石君派) 항렬표
- ·무림군파(茂林君派) 항렬표
- ·양령대군파(讓寧大君派) 항렬표
-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항렬표
- ·성녕대군파(誠寧大君派) 항렬표
- ·경녕군파(敬寧君派) 항렬표
- ·함녕군파(함寧君派) 항렬표
- ·온녕군파(溫寧君派) 항렬표
- ·근녕군파(謹寧君派) 항렬표
- ·혜령군파(惠寧君派) 항렬표
- ·희령군파(熙寧君派) 항렬표
- ·후령군파(厚寧君派) 항렬표
- ·익녕군파(益寧君派) 항렬표
- ·임영대군파(臨瀛大君派) 항렬표
-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항렬표
- ·금성대군파(錦城大君派) 항렬표
- ·영응대군파(永膺大君派) 항렬표
- ·화의군파(和義君派) 항렬표
- ·계양군파(桂陽君派) 항렬표
- ·의창군파(義昌君派) 항렬표
- ·한남군파(漢南君派) 항렬표
- ·밀성군파(密城君派) 항렬표
- ·수춘군파(壽春君派) 항렬표
- ·익현군파(翼峴君派) 항렬표
- ·영해군파(寧海君派) 항렬표
- ·담양군파(潭陽君派) 항렬표
- ·덕원군파(德源君派) 항렬표
- ·창원군파(昌原君派) 항렬표
- ·월산대군파(月山大君派) 항렬표
- ·계성군파(桂城君派) 항렬표
- ·안양군파(安陽君派) 항렬표
- ·완원군파(完原君派) 항렬표
- ·회산군파(檜山君派) 항렬표
- ·봉안군파(鳳安君派) 항렬표
- ·견성군파(甄城君派) 항렬표
- ·익양군파(益陽君派) 항렬표
- ·이성군파(利城君派) 항렬표
- ·경명군파(景命君派) 항렬표
- ·전성군파(全城君派) 항렬표
- ·무산군파(茂山君派) 항렬표
- ·영산군파(寧山君派) 항렬표
- ·운천군파(雲川君派) 항렬표
- ·양원군파(楊原君派) 항렬표
- ·해안군파(海安君派) 항렬표
- ·금원군파(錦原君派) 항렬표
- ·영양군파(永陽君派) 항렬표
- ·덕양군파(德陽君派) 항렬표
- ·봉성군파(鳳城君派) 항렬표
- ·덕흥대원군파(德興大院君派) 항렬표
- ·임해군파(臨海君派) 항렬표
- ·신성군파(信城君派) 항렬표
- ·순화군파(順和君派) 항렬표
- ·인성군파(仁城君派) 항렬표
- ·의창군파(義昌君派) 항렬표
- ·경창군파(慶昌君派) 항렬표
- ·경평군파(慶平君派) 항렬표
- ·인흥군파(仁興君派) 항렬표
- ·영성군파(寧城君派) 항렬표
- ·능원군파(綾原君派) 항렬표
- ·능창군파(綾昌君派) 항렬표
- ·소현世자파(昭顯世子派) 항렬표
- ·용성대군파(龍城大君派) 항렬표
1) 효령대군파 (태종 둘째 아들)
- 31세 : 석(錫)
- 32세 : 오(澳)
- 33세 : 두한(斗漢)
2) 덕흥대원군파 (고종 조부)
- 31세 : 초(楚)
- 32세 : 정(正)
- 33세 : 인령(引齡)
- 34세 : 돈(惇)
3) 소현세자파 (효종 형)
- 33세 : 조(祚)
- 41세 이후 : 재-용-해…(공통)
4) 양녕대군파 (태종 장남)
- 29세 : 령(齡)
- 30세 : 린(麟)
- 31세 : 석령(錫齡)
5) 임영대군파 (세종 넷째 아들)
- 31세 : 진(瑨)
- 32세 : 경(儆)
- 33세 : 련(鍊)
임영대군 가계도
전주이씨 소현세자파 가계도
위 항렬자는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검색 시스템과 각 파 종중 홈페이지 표기를 종합해 정리했습니다.
항렬자를 정할 때 주의할 점
- 同音異字 금기 : 같은 세대라도 한자까지 동일해야 합니다. ‘基’ 대신 ‘起’를 쓰면 항렬이 어긋난 것으로 간주됩니다.
- 항렬-존함 병기 : 현대에는 흔히 두 글자 이름 가운데 뒤 글자를 항렬자로 넣지만, 조선 전기에는 첫 글자를 돌림자로 쓰는 예도 많았습니다.
- 분파 확인 : 전주 이씨 종친회 홈페이지에서 파조를 먼저 확인한 뒤 항렬표를 찾는 것이 정확합니다.
전주 이씨 ‘돌림자’가 남긴 문화적 의미
- 왕권 관리자 : 동성 친인척 간 항렬 통일로 왕실 서열을 명확히 했습니다.
- 가족법 : 조선 혼인 금혼범위(八寸) 계산에 필수 자료였으며, 항렬이 같으면 같은 촌수로 간주했습니다.
- 현재적 가치 : 가족 카톡방·족보 앱에서도 항렬자가 세대를 잇는 상징으로 활용됩니다.
결론
항렬은 단순한 ‘돌림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전주 이씨 사례처럼, 한 글자 속에는 왕조의 정치·사회·문화사가 켜켜이 들어 있습니다. 오늘 우리 이름에도 600년 전 조상들이 설계한 세대 표식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은, 이름이야말로 ‘역사와 현재를 잇는 가장 작은 문화유산’임을 보여줍니다.
'생활정보 상식 > 어원 문학 시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평 윤씨 항렬표, 역사, 소정공파, 판도공파 돌림자 족보 (0) | 2025.06.28 |
---|---|
한양 조씨 항렬표 역사, 엠블럼, 종문, 병참공파 충무공파, 양경공파 돌림자 (0) | 2025.06.26 |
TF 팀이란? (0) | 2025.06.04 |
연임과 중임의 차이 (0) | 2025.05.19 |
김해김씨 항렬표, 경파, 삼현파, 문경공파, 사군파, 감무공파 돌림자 (0) | 2025.04.13 |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