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 TOP 50 (2025년 최신 국내 연봉 기준)
돈 잘버는 직업 연봉 순위 조사 방법 및 전제
-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 데이터 원천 : 국세청 전문직 소득 통계, 고용노동부 KOSIS 직종별 임금, 대형 포털·잡사이트 (잡코리아·원티드 등) 공개 연봉, 산업·협회 리포트, 최근 언론·전문지 보도
- 환산 단위 : 연 총보수(세전)·단위 ‘억 원’ (한국은행 2025.7월 평균 환율 적용, 일부 달러 표기는 KRW 전환)
- 직군 구분 : 동일 직종이라도 조직형태(병원 vs 개원, 대기업 vs 스타트업)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평균값+상위 2~3 분위’ 기준으로 서열화
- 집계 편차 주의 : 개인 성과급·지분 이익 등이 큰 창업가·크리에이터·연예인은 제외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 TOP 50 (2025)
Tip: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 TOP 50의 숫자는 평균 연 총보수 범위(억 원)이며, 괄호 안은 대표 근거 출처/주요 특징입니다. 링크는 다음 검색에서 검색 순위에 불이익을 주기 때문에 뺐습니다.
1위 – 외과·성형외과 전문의 4.0 ~ 6.0
- 필수수술량·개원 프리미엄이 겹친 대표 초고소득층. 근무 형태에 따라 2배 이상 갭. ([데일리메디][1])
2위 – 항공사 기장 (대형기) 3.0 ~ 5.0
- 장거리 국제선·화물기 수당이 핵심. 경력 10년 이상 B777·B747 기장은 5억대도 확인. ([비행기 시간표][2])
3위 – AI 아키텍트 / CIO 2.8 ~ 4.4
- 디지털전환 붐으로 급등. 상위 글로벌·대기업 오퍼는 4억 이상. ([Nucamp][3])
4위 – 투자은행(IB) MD·본사영업 2.5 ~ 3.5
- IPO·M&A 성과급 연동. 연봉 2 억대 + 보너스 1 억 구조가 전형적. ([경제적 자유를 위해 (0원에서 1000억 부자로의 여행)][4])
5위 – 대형 로펌 파트너 변호사 2.2 ~ 3.3
- 초임 신입도 1.6 ~ 1.8 억, 파트너·주니어 퀀텀 상승. ([법률신문][5])
6위 – 증권사 본사·트레이딩 헤드 2.0 ~ 3.1
- 평균급여 2 억 후반 수준 (부국증권 사례). 성과급 비중 최대 50 %. ([원티드][6])
7위 – PE/VC 파트너 1.8 ~ 3.0
- 운용보수 + 캐리(Exit) 배당. 펀드 규모·성과에 따라 다층.
8위 – 의료 특수과 (마취·영상·재활 등) 1.8 ~ 2.8
- 온콜 빈도 낮고 고덕트 수가 높아 선호 집중. ([데일리메디][7])
9위 – 게임·IT CTO/Chief Product Officer 1.7 ~ 2.8
- 대형 게임사 IPO 후 스톡옵션 이익 폭발.
10위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Principal 1.4 ~ 2.2
- 금융·대기업·빅테크 모두 채용 전쟁. AI 경력 5 년 이상 → 기본급 1 억 중후반. ([Nucamp][3])
11 – 20위 (High Tier B)
11위 – 기업 CFO 1.6 ~ 2.5
12위 – 전문의 치과·정형외과 1.5 ~ 2.4
13위 –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1.3 ~ 2.1 ([Nucamp][3])
14위 – 펀드매니저·애널리스트(Top 3 브로커리지) 1.3 ~ 2.0
15위 – 특허·변리사 파트너 1.2 ~ 1.9
16위 – 세무사(대기업 조세본부 Head)/국제조세 컨설턴트 1.1 ~ 1.8
17위 – 핵심 반도체 공정 Tech Leader 1.1 ~ 1.7
18위 – 보험계리사 파트너 1.0 ~ 1.6
19위 – 선박·LNG 선장(해기사 1급) 1.0 ~ 1.5
20위 – 국제선 항공사 부기장 0.9 ~ 1.4 ([비행기 시간표][2])
21 – 30위 (Tech & Specialist)
21위 – SW 개발 매니저(FAANG Korea) 0.9 ~ 1.4
22위 – 전력 원자력 엔지니어 0.9 ~ 1.3
23위 – 플랫폼 PM/PO(시니어) 0.8 ~ 1.3
24위 – UX 디자인 Director 0.8 ~ 1.2
25위 – 게임 아트 디렉터 0.8 ~ 1.2
26위 – 리걸 컴플라이언스(은행 본부장급) 0.8 ~ 1.2
27위 – OT 사이버보안 전문가 0.8 ~ 1.2
28위 – Big 4 회계법인 Director 0.7 ~ 1.1
29위 – 약국 개업 약사 0.7 ~ 1.0
30위 – 수의사 병원장 0.7 ~ 1.0 ([데일리메디][8])
31 – 40위 (관리 + 전문직 혼합)
31위 – AI/ML 엔지니어(미드급) 0.6 ~ 1.0
32위 – 스포츠 구단 프로선수(연봉제) 0.6 ~ 1.0
33위 – 컨설팅 펌 Manager 0.6 ~ 0.9
34위 – 중대형 병원 전임의 0.6 ~ 0.9
35위 – 대기업 R&D 팀장 0.6 ~ 0.9
36위 – 방송 PD(프리랜스 톱티어) 0.6 ~ 0.9
37위 – 해외 플랜트 프로젝트 PM 0.6 ~ 0.9
38위 – 공인노무사 대표 0.5 ~ 0.8
39위 – 플랫폼 데브옵스 엔지니어 0.5 ~ 0.8
40위 – 재무설계사 (TOP 1%) 0.5 ~ 0.8
41 – 50위 (고소득 전문직 라이트 Tier)
41위 – 병원 PA 간호사(프리랜스) 0.45 ~ 0.7
42위 – 대기업 플랜트 안전관리자 0.45 ~ 0.7
43위 – 호텔 총지배인 0.4 ~ 0.7
44위 – 경영 컨트롤러 (공시책임) 0.4 ~ 0.65
45위 – 국내항공사 사무장 0.4 ~ 0.6 ([비행기 시간표][2])
46위 – 스타트업 시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 0.4 ~ 0.6
47위 – 지자체 7급 의무 수의공무원 0.38 ~ 0.55
48위 – 공공기관 연구원(책임 급) 0.37 ~ 0.55
49위 – 중견기업 해외영업 팀장 0.36 ~ 0.52
50위 – 네일·피부 샵 1인 CEO(상위 10 %) 0.35 ~ 0.5
트렌드 한눈에 보기
- 전문‧자격직 싹쓸이 : 의사·변호사·회계사 ‘3대 전문직’은 여전히 상위권 고정.
- Tech Renaissance : AI·클라우드·보안 직군이 단숨에 TOP 10 진입, 평균 연봉 2억 돌파.
- 성과급 격차 : 금융·IB·PE 등은 기본급이 높지 않아도 성과급(보너스·캐리) 폭으로 순위가 뒤흔들림.
- 라이선스 + 현장형 : 선장·해기사, 특수항공 정비사처럼 라이선스와 리스크 프리미엄이 겹치는 직업도 강세.
- 공공·전문 이중구조 : 판·검사 등 공공직은 안정성 대신 연봉은 대형 로펌 신입 수준으로 상대적 정체.
결론
고연봉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는 (1) 희소 전문성 (2) 높은 시장수요 (3) 리스크·책임 프리미엄 (4) 성과급 설계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역량 포트폴리오를 설계하여 ‘돈 잘 버는 직업’ 으로의 로드맵을 구체화해 보세요.
참고자료 (주요 인용 원천)
- 전문의 평균 4억 연봉 실태조사 ([데일리메디][1])
- 대한항공 기장·부기장 2025 연봉 분석 블로그 ([비행기 시간표][2])
- Nucamp Tech Jobs Report (2025) ([Nucamp][3])
- 증권사 평균연봉 (2 억대) 블로그 리스트 ([경제적 자유를 위해 (0원에서 1000억 부자로의 여행)][4])
- 부국증권 평균 1인 급여 1.9 억 원티드 기업 정보 ([원티드][6])
반응형
'직업 경제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군인, 교사, 경찰 등) (0) | 2025.07.18 |
---|---|
2026년 국민연금 인상률, 보험요율 전망 (0) | 2025.07.15 |
교사 봉급표 2025 교원 호봉표 2026 (0) | 2025.07.14 |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근로산정법 주52시간 근무제 (0) | 2025.07.09 |
공무원 자녀 대학등록금 지원, 공무원연금공단 대여학자금 조건, 소득 8분위 기준 다자녀 국가장학금 가구 셋째 자녀부터 전액지원 (0) | 2025.07.07 |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