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교사 봉급표(교원 호봉표) 완전 정리
2025년 교사 급여 체계 개요
2025년 1월 3일자로 개정된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1’은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국·공·사립 포함)의 기본 봉급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전년 대비 평균 3 % 인상을 반영했고, 호봉별 격차 완화를 위해 중·고호봉 구간을 소폭 상향 조정했습니다.
올해 협상 중인 2026년 공무원 임금(6.6 % 요구)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교사 봉급표 2025 자체는 이미 시행 중이므로 현직·예비 교사는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교사 봉급표 2025
비고: 기간제교원은 제8조에 따라 산정된 ‘산정 호봉’으로 지급하며,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예외 사유가 없는 한 고정급으로 처리됩니다.
교직 호봉의 결정 로직
1. 경력환산율표 적용
- 군복무·산업체 근무 등 교직 외 경력을 호봉으로 인정받을 때 사용하는 공식 자료입니다.
- 경력기간 합산신청서를 제출해 교원인사위원회 심의 후 확정합니다.
2. 학령 – 16 + 가산연수 산출
- 학령: 초 6년, 중 3년, 고 3년, 대 4년이 기본 학력연수로 인정됩니다.
- 가산연수
- 사범계·교대 졸업자 : 1년
- 특수학교(학급) 가산연수 : 최대 2년
- 비사범계 학과 졸업자 : 1년
- 방과후전담사·교직원 전직 경력도 일정 비율(70 % ±)까지 가산됩니다.
3. 기사호봉(특수전문직)
보건·사서·영양·상담·특수교사 등은 직무 특성을 고려한 ‘기사호봉’ 가산이 별도 반영됩니다. 예컨대 영양교사(1급)는 9호봉을, 사서교사(2급)는 8호봉을 기본값으로 인정합니다.
4. 초임호봉 책정
위 세 단계 결과로 ‘잔여기간 계산’ 후 정해지는 최종 호봉입니다. 일반적으로 정교사 2급 신규 임용자는 9호봉에서 출발하며, 석·박사 학위·타기관 경력이 있으면 최대 18호봉까지 올라갑니다.
2025년 교사 수당 체계 전면 개편
주요 고정수당 비교(2024 → 2025)
수당 | 2024 | 2025 | 인상률 |
교직수당 | 200,000 | 250,000 | 25 % |
담임수당 | 130,000 | 200,000 | 53.8 % |
보건교사수당 | 30,000 | 40,000 | 33.3 % |
영양교사수당 | 30,000 | 40,000 | 33.3 % |
사서교사수당 | 20,000 | 30,000 | 50 % |
정근수당 계산법
- 1년 미만: 월 봉급액의 10 %
- 1 ~ 2년: 10 %
- 2 ~ 3년: 20 %
- 3 ~ 4년: 20 %
- 5년 이상: 30 % 이상(기존 규정 유지)
가족·명절·시간외 수당
- 가족수당: 첫째 50,000 원, 둘째 80,000 원, 셋째 이상 120,000 원.
- 명절휴가비: 기본급의 60 %(1회 지급액), 1·7월 분할 지급.
- 시간외근무수당: 월 57시간 한도 내 실제 근무시간×정액단가.
실제 초등교사 월급 시뮬레이션
예시 : 초등학교 10호봉 담임교사
항목 | 초등학교 교사 월급 - 10 호봉 |
기본봉급 | 2,387,800 |
교직수당 | 250,000 |
담임수당 | 200,000 |
가족수당(자녀 2명) | 130,000 |
시간외근무수당(가정 25h) | 100,000 |
정근수당(월 환산) | 119,390 |
급식비(정액) | 140,000 |
총계(세전) | 3,327,190 |
세후 실수령액은 소득세·지방소득세·연금보험료(8.95 %)·건강보험료(7.57 %)+장기요양보험료 등을 제하고 약 2,520,000 원 수준입니다.
교육공무원 근속가호봉 제도 이해
제도 개념
경력 30년 이상 교사가 40호봉 진입 후에도 호봉 승급 대신 ‘근속가호봉’으로 전환해 **최대 6,778,800 원(10호봉 기준)**까지 기본급을 상승시키는 보상 장치입니다.
근속가호봉 월급표
근가호봉 | 기본급(원) |
1 | 6,074,100 |
2 | 6,152,400 |
3 | 6,230,700 |
4 | 6,309,000 |
5 | 6,387,300 |
6 | 6,465,600 |
7 | 6,543,900 |
8 | 6,622,200 |
9 | 6,700,500 |
10 | 6,778,800 |
교사 연봉 계산 퀵 가이드
공식
$\text{연봉} = \bigl(\text{기본월급} + \text{고정수당} + \text{직책수당} + \text{근속·정근수당 평균}\bigr) \times 12 + \text{명절휴가비} + \text{성과상여금}$
팁
- 성과상여금은 매년 4월 평가 후 5월 지급, 개인별 차등(최고 300 %대).
- 방학 중에도 급여·수당은 동일하게 지급되지만, 복무 중인 학교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당은 별도 계약으로 지급됩니다.
- 농어촌·도서 지역 가산금은 월 최대 200,000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재테크 제언
1. 교원연금 대비
2024년 이후 가입자는 퇴직연금을 선택해 개인 IRP 수령 비중이 증가했습니다. 급여의 11 %를 연금으로 납입하므로, 투자를 통한 복리효과를 미리 설계해야 합니다.
2. 주택청약 활용
교직 특수지역 전보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청약통장 유지로 전국 단위 가점을 확보하세요. 10년간 매월 10 만원 불입 시 1,200 만원 원금 대비 이자율도 은행 적금보다 유리합니다.
3. 휴가비·교원복지포인트
명절휴가비와 별도로 지급되는 복지포인트(연 400 ~ 600 점)는 도서·문화·여행·의료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드사 제휴 할인과 병행하면 실질 소득이 3 %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계약제(기간제) 교사의 봉급은?
기간제교원도 위 호봉표를 적용하지만, 산정호봉이 아닌 고정급제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동일 호봉이라도 정규 교사보다 수당 항목이 제한적입니다.
Q2. 석사·박사 학위가 월급에 크게 유리한가?
석사 학위 가산연수(2년)로 2호봉 상승하지만, 그 사이 현장 근무 2년이면 동일 승급이 가능해 실제 차이는 미미합니다. 학위 취득 목적으로만 대학원을 선택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습니다.
Q3. 호봉승급 평정이 부당하게 낮게 나왔을 때?
교원인사위원회에 이의신청 가능하며, 객관적 자료(근무평정표·연수 실적 등)를 준비해야 합니다. 특별승급 불이익 시 행정심판도 검토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2025년 교사 봉급표는 단순히 ‘얼마 받는다’를 넘어 경력관리·연금·수당 체계를 모두 포괄합니다. 특히 수당 인상 폭이 큼에도 불구하고 세전·세후 차이가 커 보이므로, 상대적 소득 체감을 위해 세부 항목별 체크가 필수입니다. 예비 교사는 초임호봉 산정 자료를 미리 준비하고, 현직 교사는 수당 인상분이 반영됐는지 급여명세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확정급여형인 교직 급여는 큰 변동 없이 꾸준히 늘어나는 안정형 모델이지만, 근속가호봉 이후 성장 여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장기적인 금융 설계와 전문성 강화를 통해 교직 생활 30년 이후에도 안정적 소득 흐름을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직업 경제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근로산정법 주52시간 근무제 (0) | 2025.07.09 |
---|---|
공무원 자녀 대학등록금 지원, 공무원연금공단 대여학자금 조건, 소득 8분위 기준 다자녀 국가장학금 가구 셋째 자녀부터 전액지원 (0) | 2025.07.07 |
현대카드 CVC 번호 조회 방법, 모바일 안전 관리 가이드 (0) | 2025.07.05 |
달러 환율 전망 기호 (0) | 2025.07.04 |
군인 월급 2025 (0) | 2025.06.24 |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