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어원 문학 시 역사

정지용 ‘향수(鄕愁)’ 시, 노래 가사

by 하누혀누2 2024. 2. 28.

목차

    정지용 ‘향수(鄕愁)’ 시 감상 및 분석

    정지용 ‘향수(鄕愁)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해질 무렵)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하늘에는 석근(여러 모양의 별들이 섞여 빛나는 모습)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 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 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정지용의 시 ‘향수’는 1927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한국 현대시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 시는 정지용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애정을 진솔하게 담아낸 작품으로, 시인의 정서와 자연의 아름다움이 조화롭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향수(鄕愁) / 정지용 작시, 김희갑 작곡 / 테너 박인수 & 이동원 노래

    정지용의 향수 시는 김희갑 씨가 곡을 붙여서 테너 박인수와 이동원이 가곡으로 노래를 불렀습니다. 당연히 정지용 향수 노래 가사는 정지용 시인의 향수 시와 같습니다.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정지용 향수 시의 배경과 주제

    정지용의 시‘향수’는 정지용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애정을 주제로 합니다. 시에서는 넓은 벌, 실개천, 황소, 밤바람, 아버지, 어린 누이, 아내 등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고향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묘사는 독자로 하여금 시인의 고향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강하게 느끼게 합니다.

    정지용 ‘향수(鄕愁)’ 시글로 이동정지용 ‘향수(鄕愁)’ 시글로 이동
    정지용 ‘향수(鄕愁)’ 시글로 이동

    ‘향수(鄕愁)’시적 기법과 언어

    정지용은 고향의 자연과 사람들의 모습을 섬세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그려냅니다.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황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과 같은 표현은 시적 상상력과 언어의 힘을 보여줍니다. 또한, 반복되는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라는 구절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강조하며, 시의 리듬감을 높입니다.

    ‘향수(鄕愁)’시의 감상 포인트

    • 자연과 인간의 조화: 정지용은 고향의 자연과 인간의 삶이 어우러진 모습을 아름답게 그려냅니다. 이는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어 살아가는 이상적인 삶을 상징합니다.
    • 세세한 묘사: 시인은 고향의 자연과 일상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써, 독자가 시인의 고향을 마치 눈앞에 보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합니다.
    • 고향에 대한 애정: 고향에 대한 깊은 그리움과 애정이 시 전반에 걸쳐 강하게 표현됩니다. 이는 고향이 단순히 지리적인 공간을 넘어, 시인에게 정서적인 안식처와 같은 존재임을 나타냅니다.

    정지용의 ‘향수’는 고향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진솔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표현한 시입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고향이 개인의 삶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정지용의 시는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정지용 시인 프로필

    정지용 시인정지용 시인
    정지용 시인

    정지용(鄭芝容) 시인은 1902년 충청북도 옥천읍 하계리에서 태어나, 일본 동시샤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교육자 및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본관은 영일 정 씨이며, 천주교 신자로서도 알려져 있지만, 일생 동안 여러 사회적 변화 속에서 복잡한 역사의 한가운데 서 있었다.

    정지용 시인 생애

    • 출생: 1902년 6월 20일, 충북 옥천읍 하계리
    • 가족 배경: 아버지 연일 정씨 태국, 어머니 하동 정 씨 미하, 4대 독자
    • 교육: 휘문고등보통학교(1918~1922), 일본 동시샤 대학 영문과(1923~1929)
    • 경력:
      • 1929~1945년: 모교 교원
      • 광복 후: 경향신문 편집국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사망: 1950년대 초, 6.25사변 당시 북한에 의해 납치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

    정지용 시인 문학 활동

    • 동인지 활동: 고등학교 시절, '요람' 동인 결성 및 동인지 발행
    • 작품: 해방 직후까지 다수의 시와 소설 발표, 대표적으로 시집 『정지용시집』에 수록된 작품들
    • 문학적 특징: 아름다운 자연을 사랑하고, 고독과 애환을 시로 표현

    역사적 상황과의 관계

    • 천주교 신자이자 조선문학동맹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
    • 한국전쟁 중 북한에 의해 납치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

    정지용 시인은 한국 문학사에 깊은 족적을 남긴 인물로, 그의 생애와 작품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그의 문학 세계는 아름다움과 슬픔, 고독의 교차로에서 빛나는 인간 정신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