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오늘의 금시세 14K 금값, 18K 1돈 팔 때‑24K 금 한돈 가격
국제 오늘 금값 시세가 온스당 3,300달러를 넘나드는 고점 구간에 접어들면서, 국내 금시장은 환율 변동과 ‘김치 프리미엄’ 효과까지 겹쳐 연일 새로운 금시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실물 금 투자를 고려하시는 분, 중고 14K·18K 주얼리를 처분하려는 분, 혹은 안전자산 포트폴리오를 점검 중이신 분이라면 “지금 시점에서 금 한돈은 가격이 얼마인가?”라는 질문이 가장 먼저 떠오르실 것입니다.
오늘은 2025년 4월 17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와 금시세닷컴 공시 자료를 토대로 24K·18K·14K 오늘의 금시세를 정리하고, 가격 변동 요인과 투자 체크포인트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금시세 리스트업
- 24K 순금 1돈(3.75 g) 오늘의 금값시세
- 내가 살 때(매입가) : 664,000 원
- 내가 팔 때(매도가) : 550,000 원
- 18K 금 1돈
- 내가 팔 때 기준 18K 금 1돈 금시세 : 409,000 원
- (매입 시 세공·공임별도)
- 14K 금 1돈
- 내가 팔 때 기준 14K 금 1돈 가격 : 318,000 원
- (매입 시 세공·공임별도)
- 백금(Pt) 1돈
- 내가 살 때 : 191,000 원
- 내가 팔 때 : 147,000 원
- 은(Ag) 1돈
- 내가 살 때 : 6,520 원
- 내가 팔 때 : 4,780 원
※ 실제 거래가는 지점·브랜드·세공비·부가세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세 확인 시 ‘내가 살 때(소매가)’와 ‘내가 팔 때(매입가)’를 반드시 구분하여 비교하십시오.
24K·18K·14K의 의미와 단가 산정 방식
24K 순금이란?
- 함유량 99.9 %로 ‘순금’ 또는 ‘99.99 ’라고도 부릅니다.
- 국제 금시장(런던금거래소)에서 1g 단가(예: 152,800 원)가 정해지면 국내에서는 여기에 원/달러 환율·관세·유통비용을 더해 시세가 결정됩니다.
18K·14K는 왜 24K보다 할인될까?
- 18K = 함유량 75 %, 14K = 함유량 58.5 %.
- 함량 차이만큼 원재료 값이 낮아지고, 주얼리 가공비(공임)·디자인 프리미엄이 추가됩니다.
- 중고 매도 시 공임·디자인 프리미엄은 전부 감가돼 순수 함유 금 무게만 평가받는 점을 유의하십시오.
국내 금값을 끌어올리는 세 가지 변수
국제 금시세 & 달러 환율
1달러당 1,420 원대를 유지하는 원/달러 환율은 국제 금값 상승분을 배가 시키는 핵심 요인입니다. 일반적으로 금은 달러 표시 자산이므로, 달러 강세 → 원화 약세 → 원화 환산 금값 상승 구조가 나타납니다.
국내 수요·공급 불균형
최근 3개월 간 금 통장·실물 골드 바 매수가 급증하면서 KRX 금 현물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48 % 증가했습니다. 실물 배송 지연으로 ‘배당금 효과’가 줄어들자,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다시 한번 주얼리·돌반지 매입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김치 프리미엄’·전자상거래 확산
해외보다 최대 6 %가량 높은 내수 프리미엄이 붙는 현상은 주로 ▲즉시 인도 수요 ▲배송·보험료 ▲부가세(10 %) 때문입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확대로 가격 비교가 쉬워지면서 프리미엄 폭은 점차 축소되는 추세입니다.
금 거래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포인트
실물 금 vs 금통장 vs ETF
구분 | 장점 | 단점 |
실물 금(골드바·돌반지) | 실물 보유, 위기 시 교환성 ↑ | 10 % 부가세·보관·보험 비용 |
금 통장(은행) | 0.1g 단위 소액 투자, 매도·매수 실시간 | 실물 인출 시 10 % 부가세·수수료 발생 |
금 ETF(상장지수펀드) | 증시 개장 시간 매매, 낮은 거래비용 | 순수 금 가격 외 주가 변동·추가 비용 |
14K·18K 매도 시 공임 차감
주얼리 매입가는 ‘함량 순금 무게 × 당일 매입 단가’로 산정합니다. 세공비·디자인 값은 매도 시 0 원 처리되므로, 보증서에 ‘중량(g)'이 정확히 기재돼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세금 및 수수료
- 실물 금 투자 : 구매 시 부가가치세 10 %, 판매 시 부가세 환급 불가.
- 금 통장·ETF : 매매차익(기타소득) 250만 원 공제 후 15.4 % 원천징수.
- 증여·상속 : 시가 상당액 기준 증여세·상속세 부과.
결론
4월 17일 현재 24K 순금 한돈 매입가는 550 만 원 중반, 매도가는 660 만 원 초반까지 상승하여 사상 최고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같은 날 18K 팔 때 40만 원대 초반, 14K 팔 때 31만 원대 중반 시세 역시 연중 최고치입니다. 금값 상승은 단기 조정에도 불구하고 달러·지정학 리스크 완충 장치로 여전히 유효합니다. 다만 부가세·공임·스프레드 비용을 감안하면, 단기 차익보다는 장기 헤지 수단으로 접근하시는 편이 안정적입니다. 최종 거래 전에는 당일 시세 재확인과 여러 거래소 견적 비교를 통해 납득할 만한 가격을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직업 경제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봉급표 9급 월급 (0) | 2025.04.14 |
---|---|
2025년 종합소득세율 (표) (0) | 2025.04.13 |
상속세 납부 방법 및 연부연납 제도, 신고기한 (0) | 2025.04.12 |
HUG 전세 보증보험 반환 절차와 임차권등기 절차 (0) | 2025.04.11 |
근로기준법 연차 월차 제도 반차 반반차 장단점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