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우리말 날짜 세기 어휘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 1루수가 누구야 밈 유래 내용
순우리말 날짜 세기 어휘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 1루수가 누구야 밈 유래 내용최근 사람들 사이에서 순우리말로 날짜를 세는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사흘 뒤에 제출하라"는 말을 "4일 뒤"로 오해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또한,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와 같은 기본적인 순우리말 단어조차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루", "2틀", "3흘", "4흘", "5흘", "6흘", "7흘", "8흘", "9흘"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우리의 언어 감각이 점점 퇴화하고 있다는 증거일 수 있습니다."1루"라고 하니, 1루수가 누구야 밈이 떠 오르네요. 요새 이게 재밌더..
2024. 6. 23.
의외로 한자인 우리말 단어, 뜻과 유래 급기야, 도대체, 심지어, 순식간, 무진장, 별안간, 미안, 과연, 물론이 한자였어?
의외로 한자인 우리말 단어, 뜻과 유래 급기야, 도대체, 무진장, 별안간, 미안, 과연, 물론이 한자였어?우리말 속에는 한자어가 많이 섞여 있습니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들 중에서도 한자어인 단어들이 많아 그 유래와 뜻을 아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죠.이번 포스트에서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중 의외로 한자인 단어들을 소개하고 그 뜻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급기야(及其也)뜻: 마침내, 결국.유래: '급기야'는 '미칠 급(及)', '그 기(其)', '그럴 야(也)'가 합쳐진 단어로, '결국에 가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도대체(都大體)뜻: 도무지, 전혀.유래: '도대체'는 '도읍 도(都)', '큰 대(大)', '몸 체(體)'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도무지'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무진장(無盡..
2024. 6. 13.
조선왕 헌종의 가계도
조선왕 헌종의 가계도헌종의 출생과 초기 생애조선왕 헌종(憲宗, 1827년 9월 8일 ~ 1849년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으로, 본명은 이환(李烉)입니다. 그는 순조와 순원왕후 김 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인 순원왕후는 김조순의 딸로 유명한 경주 김 씨 가문 출신입니다. 헌종은 조선의 다른 왕들과 마찬가지로 왕위 계승에 중요한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정치적 지지 기반을 다지려 했습니다.2024.03.02 - [생활정보 상식/어원 문학 시 역사] -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분파, 두계공파,수은공파,밀직공파,월성부원군파, 병판공파, 백촌공파, 태사공파,계림군파,판도판서공파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분파, 두계공파,수은공파,밀직..
2024. 5. 30.
빌리 조엘 노래모음 Piano Man, Uptown Girl, Tell Her About It, Don't Ask Me Why, New York State Of Mind, The River Of Dreams, It's Still Rock And Roll To Me, Goodnight Saigon, My LifeShe's Always A Woman, She's Got A Way, Scandinavian Skies, An Innocent Man, Movin
빌리 조엘 노래모음빌리 조엘(Billy Joel)은 미국의 유명한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은 수십 년 동안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그의 노래들은 깊은 감성과 독특한 멜로디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여러 세대에 걸쳐 여전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빌리 조엘의 대표적인 곡들을 소개하며, 각 곡이 가지는 특별한 의미와 음악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Piano Man빌리 조엘의 대표곡 중 하나인 'Piano Man'은 1973년에 발표된 곡으로, 그의 음악 경력을 상징하는 노래입니다. 이 곡은 빌리 조엘이 로스앤젤레스의 피아노 바에서 일하던 시절을 배경으로 하며, 바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가사에는 실제 인물들이 등장하며, 빌리 조엘의 생생한 경험과 ..
2024.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