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

독도새우 가격·종류 : 울릉도 ‘닭새우·도화새우·꽃새우’ 제철 시세

by 하누혀누2 2025. 8. 9.
반응형

독도새우 가격·종류 : 울릉도 ‘닭새우·도화새우·꽃새우’ 제철 시세 가이드

독도새우는 특정 한 종의 새우 이름이 아니라,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잡히는 고급 심해 새우 3종을 묶어 부르는 상업 명칭입니다. 통상 다음 세 종을 지칭합니다: 도화새우, 꽃새우(표준명 물렁가시붉은새우), 닭새우(표준명 가시배새우). 공공기관·언론·학술 자료에서도 이 3종 구성으로 소개됩니다.

‘독도새우 3형제’ 핵심 요약

  • 도화새우: 크고 묵직한 식감, 단맛 강함. 횟감-구이-찜 어디든 만능.
  • 꽃새우(물렁가시붉은새우): 홍자색 선이 선명, 단맛이 특히 도드라짐. 시장에서는 ‘꽃새우’로 부르는 경우가 절대다수.
  • 닭새우(가시배새우): 가시가 도드라진 외형, 탱글한 육질. 상업 명칭 ‘닭새우’가 붙지만 표준명은 가시배새우로 정리하는 게 혼선을 줄입니다.

주의 - 이름 혼동
서해 연안에서 ‘꽃새우’라 부르는 보리새우류(중하·시바새우 등)와 동해 심해성 ‘꽃새우(물렁가시붉은새우)’는 전혀 다른 종입니다. 블로그·상점별 호칭이 달라 헷갈리기 쉬우니 표준명을 함께 확인하세요.


독도새우 제철(철) - 언제가 가장 맛있나

일반론: 가을-초겨울 피크

현장 경험과 다수의 취식 기록을 종합하면 9월-12월이 전반적인 피크로 회자됩니다. 수온이 내려가면서 육질이 단단해지고 당도가 오르기 때문입니다.

보완 관점: 늦봄-초여름도 호평 케이스

울릉도-독도 상권 일부에서는 5-6월대 맛이 가장 좋다는 로컬 뷰도 있습니다. 이는 어장 상황-수온-개체 크기 분포에 좌우되는 현장 체감치로 이해하면 정확합니다.

독도새우 종류별 감각 메모

  • 도화새우: 대형 개체 비중이 높아 ‘제철 체감’이 뚜렷. 활어 유통이 어려워 선도 관리가 가격에 직결.
  • 꽃새우(물렁가시붉은새우): 선명한 붉은 선과 단맛. 소형-중형 개체가 많아 ‘미수(개수)’ 대비 가성비를 체감하기 쉬움.
  • 닭새우(가시배새우): 외형 가시성 강함. 회-버터구이 모두 인기. 활유통 비율이 높아 ‘시가’ 변동폭 큼.

2025년 기준 독도새우 가격 시세 가이드(울릉도 현지 vs. 온라인 직송)

울릉도-현지(횟집·회센터) 체감가

  • 1kg ‘시가’ 대역: 대략 20만-35만 원
    • 실제 인증·후기성 데이터에서 1kg 29만 원 결제 사례가 다수 공유됩니다. 현장 시세는 성수기·날씨·사이즈·활선도에 크게 좌우됩니다.
  • 메뉴 구성이 가격에 영향
    • 회 뜨는 수고, 곁들이(초장/매운탕/주류) 포함 여부 따라 체감 비용 상승. 일부 후기에서는 500g 10만 원+세트 추가 구성으로 총액 18만 원 사례 존재.

온라인-산지 직송(유통 플랫폼 기준)

  • 500g 팩: 약 8만-9.5만 원(꽃·닭 기준)
  • 1kg 팩: 약 17만-18만 원(꽃·닭 기준)
    • SSG·이마트몰에 등록된 ‘독도 꽃새우/닭새우’ 활물 기준가로 확인 가능합니다. 프로모션·재고에 따라 변동.
  • 소규모 수산몰·자체몰: 300g 4.4만 원대 소포장, 구성·산소포장 여부에 따라 단가 차이 큼.

왜 현지보다 온라인이 싸 보일까
울릉도-독도권은 조업 척수 자체가 제한적이고 기상 제약이 커 당일 활물 수급이 어렵습니다. 반면 온라인은 규격화된 사이즈·급랭/활혼합 등 옵션으로 단가를 낮춘 상품 구성이 존재합니다.


‘독도새우 한 마리 가격’ 계산법 - 미수(개수)로 환산하기

  • 한 마리 독도새우 가격 ≈ (kg 단가) ÷ (1kg당 미수)
  • 같은 1kg이라도 대형 위주면 미수 적고 1미 가격↑, 소형 위주면 미수 많아 1미 가격↓.

실제 미수 레퍼런스(판매표기 기반)

  • 도화새우: 1kg 8-10미 내외 소개 케이스 - 대형 위주 상품에서 확인.
  • 닭새우(가시배새우): 1kg 25-30미 내외 표기 판매 다수.
  • 꽃새우(물렁가시붉은새우): 1kg 50-60미 내외로 소·중형 위주 표기 사례.

예시 환산(2025년 시세대역 반영)

  • 온라인 기준 1kg 178,100원(꽃/닭 활물 대역)
    • 꽃새우 50-60미 → 1미 약 2,970-3,560원
    • 닭새우 25-30미 → 1미 약 5,940-7,120원
  • 도화새우(대형 1kg 26.9만-30만 원 가정)
    • 8-10미 → 1미 약 26,900-37,500원 수준. 현지 ‘시가’·선도 프리미엄을 반영하면 더 오를 수 있음.


구매 전 상품 상세의 ‘미수’ 표기를 꼭 확인하세요. 같은 ‘1kg’이라도 미수가 다르면 1미 단가 차이가 큽니다.


울릉도에서 더 알차게 먹는 법

체크리스트

  • 오늘 잡이 여부: 풍랑·기상 영향으로 그날 활물 입고가 없을 수 있습니다. ‘산소포장’ 여부, 활-선동-급랭 구분 확인.
  • 섞음 구성: 도화+꽃+닭 혼합 세트는 맛 비교에 유리하나, ‘도화’ 비중에 따라 금액 상승.
  • 손질 옵션: 대가리 버터구이·머리 튀김·된장탕 베이스는 바다향 감칠맛을 극대화합니다.

가격을 좌우하는 요소

  • 기상+조업 척수: 실제로 울릉도 독도새우 조업은 척수·출항일수 제한으로 공급 변동폭이 큼.
  • 활물 비중: 활-선어-급랭 순으로 단가·시가 변동 폭이 커집니다.
  • 성수기: 관광 성수기에는 동일 상품도 체감가 상승.

디테일 프로파일 - 생물 분류 리스트업

도화새우 (표준명) - 꽃새우 보탄에비

  • 학명: Pandalus hypsinotus
  • 분류: 동물계 - 절지동물문 - 연갑강 - 십각목 - 도화새우과(Pandalidae)
  • 분포·메모: 동해-북태평양 냉수성 분포, 대형 개체 다수.

꽃새우 = 물렁가시붉은새우 (표준명)

  • 학명: Pandalopsis japonica
  • 분류: 동물계 - 절지동물문 - 연갑강 - 십각목 - 도화새우과(Pandalidae)
  • 분포·메모: 동해 북부-오호츠크-홋카이도권. 선명한 홍색 줄무늬.

닭새우 = 가시배새우 (표준명)

  • 학명: Lebbeus groenlandicus
  • 분류: 동물계 - 절지동물문 - 연갑강 - 십각목 - 꼬마새우과(Hippolytidae)
  • 분포·메모: 동해 북부-북태평양 한랭수역. 상업명 ‘닭새우’로 통용.

용어 주의
포털 ‘닭새우’ 검색 시 이세에비(Spiny lobster) 페이지가 함께 노출됩니다. 독도새우의 ‘닭새우’는 표준명 가시배새우이므로 혼동 금지.


구매·보관·손질 가이드

구매

  • 라벨 체크: 원산지 ‘울릉군-독도’ 표기, 활-선동-급랭 구분, 1kg당 미수.
  • 선도: 눈동자 맑음, 수염 손상 적음, 갑각 손상·흑변 최소.

보관

  • 활물: 당일 섭취 권장. 부득이하면 산소팩 유지 후 저온 단기 보관.
  • 급랭: -18℃ 이하, 진공·지퍼백 이중 포장. 해동은 저온 숙성 해동 권장.

손질·조리

  • 회: 갑각 벗겨 허리 검은 내장선 제거.
  • 구이·버터소테: 머리-몸통 분리 후 머리내장 버터+간마늘 약불.
  • 탕·라면토핑: 머리·껍질 우려내 새우머리 육수로 감칠맛 강화.

FAQ

Q1. 독도새우 ‘한 마리’ 가격은 얼마인가요?

A. 미수에 따라 다릅니다.

  • 꽃새우 1kg 50-60미, 1kg 17.8만 원대면 1미 약 3천 원대
  • 닭새우 1kg 25-30미, 1kg 17.8만 원대면 1미 약 6-7천 원대
  • 도화새우 1kg 8-10미, 1kg 26.9-30만 원이면 1미 약 2.7-3.8만 원대
    현지 ‘시가’는 성수기·활물 여부 따라 위 범위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Q2. 울릉도에서 먹는 게 꼭 더 비싼가요?

A. 대체로 그렇습니다. 활물·현지 프리미엄관광 성수기 수요가 반영되어 1kg 20만-35만 원대까지 자주 관찰됩니다. 온라인 직송·급랭은 가격 안정적입니다.

Q3. 까라비네로와 무엇이 다르죠?

A. 둘 다 심해성 고가 새우지만 산지·종이 다릅니다. 까라비네로는 스페인-이베리아권 심해성 붉은새우로 살 자체가 붉은색, 수입가가 높은 편입니다. 독도새우는 동해 심해성 3종의 상업명입니다.


가격 참고 스냅샷(2025.08 기준 확인 사례)

  • SSG 이마트몰: 독도 꽃새우/닭새우 500g 8.1-9.5만, 1kg 17.8만 원대 표기.
  • G마켓/전문몰 표기 미수: 닭새우(가시배새우) 1kg 25-30미, 꽃새우 1kg 50미 내외 표기 판매.
  • 현지 체감: 울릉도 회센터·식당 1kg 20-29만 원 구매 사례 다수.

결론

독도새우는 ‘도화·꽃(물렁가시붉은)·닭(가시배)’ 3종의 상업 묶음입니다. 제철은 전반적으로 가을-초겨울, 다만 늦봄-초여름 호평도 존재합니다. 가격은 ‘활물·사이즈·미수·현지/온라인’에 의해 크게 갈리며, 1미 가격은 3천 원대(소형 꽃새우)부터 3만 원대(대형 도화새우)까지 폭이 큽니다. 구매 시에는 원산지·유통 형태·1kg당 미수를 반드시 확인해 ‘한 마리 가격’을 역산하시면 체감 가성비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