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상식/어원 문학 시 역사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분파, 두계공파,수은공파,밀직공파,월성부원군파, 병판공파, 백촌공파, 태사공파,계림군파,판도판서공파

by 하누혀누2 2024. 5. 21.
반응형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분파, 두계공파,수은공파,밀직공파,월성부원군파, 병판공파, 백촌공파, 태사공파,계림군파,판도판서공파

경주김 씨 계림군파 항렬표는 경주김 씨 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적 시스템입니다. 항렬표는 가문의 세대별로 이름을 정하는 데 사용되는 표로, 가문의 혈통과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주김 씨 계림군파의 항렬표와 이를 구성하는 각 세대의 항렬자를 살펴보겠습니다.

경주김 씨 계림군파 항렬표는 다음과 같은 항렬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세: 식(植), 경(經)
21세: 학(學), 관(冠), 지(知)
22세: 종(鍾), 탁(鐸), 기(基), 식(式)
23세: 호(浩), 수(洙), 진(鎭), 영(榮)
24세: 동(東), 주(柱), 수(洙), 호(浩), 우(友)
25세: 환(煥), 현(炫), 상(相), 주(胄)
26세: 규(奎), 치(致), 환(煥), 훈(勳), 소(韶)
27세: 진(鎭), 호(鎬), 규(奎), 재(在), 영(迎), 도(道)
28세: 영(泳), 순(淳), 현(鉉), 후(后)
29세: 해(海), 근(根), 걸(杰), 태(泰)

이 표는 계림군파의 각 세대별로 특정 항렬자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0세대의 경우 이름에 '식' 또는 '경' 자가 포함되어야 하고, 21세대의 경우 '학', '관', 또는 '지' 자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항렬자는 가문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세대 간의 연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경주김 씨 계림군파는 여러 하위 파로 나뉩니다. 각 하위 파는 고유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하위 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제학공파휘 신민
  2. 공절공파휘 당
  3. 송애공파휘 경여
  4. 판윤공파휘 인민
  5. 공호공파휘 종순
  6. 부사공파휘 종효

각 하위 파의 파조와 중조도 항렬표에 따라 이름이 정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부제학공파휘 신민은 부제학공의 신민이 파조이며, 그 이후의 세대도 항렬표에 따라 이름이 이어집니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 계림군파(鷄林君派) 항렬표(行列表)


계림군파(鷄林君派)
파조
중조
경순왕
시조
중파(仲派)
경파(京派)
順雄
閼智
부제학공파휘 신민
공절공파휘 당
송애공파휘 경여
판윤공파휘 인민
공호공파휘 종순
부사공파휘 종효
순웅
알지
星성О
О集집

О集집
星성О


О集집
星성О


О集집
星성О

О集집


О鎰일


16세
28세
30세
57세
О遠원
О熙희

О熙희
О遠원


О熙희
О遠원


О熙희
О遠원

О熙희


永영О
О熙희

17세
29세
31세
58세
О商상
敎교О

敎교О
О商상
載재О

敎교О
О商상


敎교О
О商상

敎교О


敎교О
相상О

18세
30세
32세
59세
正정
正정О

正정О




正정О



正정О

正정О


正정О


19세
31세
33세
60세
О植식
О經경

О經경
О植식


О經경




О經경

О經경


О經경


20세
32세
34세
61세
學학О
知지О

知지О
學학О
時시О

冠관О



知지О
學학О

知지О
О榮영

知지О
О榮영

21세
33세
35세
62세
О基기
О式식

О式식
О基기
О銖수
О鍾종
鍾종О
鐸탁О


О式식
О基기

О式식
丙병О

О基기
О式식

22세
34세
36세
63세
鎭진О
是시О

是시О
鎭진О
О洪홍
О泳영
О洙수
О浩호


是시О
時시О

是시О
時시О

是시О
鎭진О

23세
35세
37세
64세
О洙수
О友우

О洙수
相상О
東동О

東동О
株주О


О友우
О洙수

О友우
О善선

О友우
О善선

24세
36세
38세
65세
相상О
胄주О

相상О
О烈열
О煥환

О煥환
О炫현


胄주О
相상О

胄주О
О洛락

胄주О
О洛락

25세
37세
39세
66세
О煥환


О煥환
奎규О
中중О

奎규О
致치О


О煥환


О韶소
相상О

О韶소
相상О

26세
38세
40세
67세
奎규О


奎규О



О鎭진
О鎬호


奎규О


道도О
光광О

道도О
光광О

27세
39세
41세
68세
О鉉현


О鉉현



泳영О
淳순О


О鉉현


О厚후
О奎규

О厚후
О奎규

28세
40세
42세
69세
海해О


海해О



О根근



海해О


О鎬호
О錫석

О鎬호
О錫석

29세
41세
43세
70세
О杓표


О杓표



容용О



О杓표


洪홍О


洪홍О


30세
42세
44세
71세
炳병О






О老노



炳병О


根근О


根근О


31세
43세
45세
72세
О培배






善선О



О培배


容용О


容용О


32세
44세
46세
73세
錫석О






О雨우



錫석О


О在재


О在재


33세
45세
47세
74세
О漢한






榮영О



О漢한


鐘종О


鐘종О


34세
46세
48세
75세
株주О






О然연



株주О


О求구


О求구


35세
47세
49세
76세

예의판서공파
수성백파
연동파
현령공파
정숙공파
충문공파
송강공파
파조
중조
경순왕
시조
禮儀判書公派
隨城伯派
蓮洞派
縣令公派
貞肅公派
忠文公派
松岡公派
派祖
順雄
閼智
남기
파조
순웅
알지
О善선
相상О

20세
○호浩
19세
17세
廷정○
16세
집集○
16세
應응○
16세
성聲○
16세
28세
30세
57세
О炳병
О魯노
О燮섭
21세
경景○
20세
○熙희
18세
基기○
17세
○희熙
17세
○澤택
17세
종宗○
17세
29세
31세
58세
奎규О
圭규О
憲헌О
22세
○식植
21세
교敎○
19세
○九구
18세
교敎○
18세
○桓환
18세
재載○
18세
30세
32세
59세
О晉진
О釣조
О鎭진
23세
명明○
22세
정正○
20세
洪홍○
19세
정正○
19세
О烈열
19세
양良○
19세
31세
33세
60세
泳영О
洛낙О
澈철О
24세
○현賢
23세
○경經
21세
○植식
20세
○식植
20세
瑀우○
20세
려麗○
20세
32세
34세
61세
О樂낙
О東동
О植식
25세
용鎔○
24세
지知○
22세
炳병○
21세
學학○
21세
○鍾종
21세
규奎○
21세
33세
35세
62세
熙희О
炳병О
煥환О
26세
○연淵
25세
○식式
23세
○均균
22세
○基기
22세
○基기
22세
경庚○
22세
34세
36세
63세
О埰채
О周주
О基기
27세
상相○
26세
○시是
24세
鐘종○
23세
진鎭○
23세
鎭진○
23세
○준濬
23세
35세
37세
64세
錫О
鉉О

28세
병炳○
27세
○우右
25세
○海해
24세
○수洙
24세
○洙수
24세
동東○
24세
36세
38세
65세
О準준
О湜식
О漢한
29세
○규圭
28세
주周○
26세
榮영○
25세
동東○
25세
相상○
25세
○섭燮
25세
37세
39세
66세
柱주О
模모О

30세
○선善
29세
27세
○烈열
26세
○환煥
26세
○煥환
26세
중重○
26세
38세
40세
67세
О勳훈
О燦찬

31세
○수洙
30세
28세
在재○
27세
규奎○
27세
奎규○
27세
○균均
27세
39세
41세
68세
喆철О
在재О

32세
주柱○
31세
29세
○鎬호
28세
○현鉉
28세
○鉉현
28세
현鉉○
28세
40세
42세
69세
О鍾종
О鎔용

33세
○열烈
32세
30세
俊준○
29세
해海○
29세
海해○
29세
○해海
29세
41세
43세
70세
河하О
濟제О

34세
○재宰
33세
31세
○相상
30세
○표杓
30세
○杓표
30세
표杓○
30세
42세
44세
71세
О根근
О林림

35세
진鎭○
34세
32세
南남○
31세
병炳○
31세
炳병○
31세
○병炳
31세
43세
45세
72세
焞돈О
炯형О

36세
○홍洪
35세
33세
○炫현
32세
○배培
32세
○培배
32세
배培○
32세
44세
46세
73세
埴식О
埈준О

37세
동東○
36세
34세
錫석○
33세
용鎔○
33세
錫석○
33세
○석錫
33세
45세
47세
74세
鉦정О
鎬호О

38세
○구求
37세
35세
○泰태
34세
○낙洛
34세
○漢한
34세
한漢○
34세
46세
48세
75세
О
О

39세
○곤坤
38세
36세
明명○
35세
의義○
35세
35세
○주柱
35세
47세
49세
76세

경주김씨 계림군파는 시조 경순왕을 기점으로 형성되었으며, 그 이후 많은 파로 나뉘어 왔습니다. 각 파는 자신의 뿌리를 강조하며 항렬표를 통해 세대 간의 연속성을 유지합니다. 이는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보존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경주김씨 계림군파 항렬표는 가문의 명맥을 이어가며 혈통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경주김씨는 세대 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항렬표를 통해 이름을 짓는 전통은 오늘날에도 많은 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가문의 일원들이 서로의 뿌리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데 기여합니다.

경주김씨 계림군파의 하위 파

경주김씨 계림군파는 다양한 하위 파로 나뉘어 있으며, 각 파는 고유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하위 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제학공파휘 신민
    • 부제학공의 후손들로, 신민을 파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파는 학문과 학식을 중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공절공파휘 당
    • 공절공의 후손들로, 당을 파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파는 충성과 절의를 중요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송애공파휘 경여
    • 송애공의 후손들로, 경여를 파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파는 자비와 배려를 강조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4. 판윤공파휘 인민
    • 판윤공의 후손들로, 인민을 파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파는 공정과 정의를 중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5. 공호공파휘 종순
    • 공호공의 후손들로, 종순을 파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파는 용기와 강인함을 강조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6. 부사공파휘 종효
    • 부사공의 후손들로, 종효를 파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파는 효와 예의를 중시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주김씨 두계공파,수은공파,밀직공파,월성부원군파, 병판공파, 백촌공파, 태사공파,계림군파,판도판서공파 항렬표









 


항렬표의 역할과 중요성

항렬표는 가문의 세대별로 이름을 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1. 가문의 통일성 유지
    • 항렬표를 사용함으로써 가문의 일원들이 동일한 전통과 규칙을 따르게 됩니다. 이는 가문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2. 세대 간 연속성
    • 항렬자는 세대 간의 연속성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후손들은 자신이 어느 세대에 속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으며,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가문의 정체성 강화
    • 항렬표를 통해 이름을 정하는 것은 가문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는 가문의 일원들이 자신들의 뿌리와 전통을 인식하고 존중하게 만듭니다.

결론

경주김씨 계림군파 항렬표는 가문의 명맥을 이어가는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경주김씨는 세대 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항렬표는 가문의 통일성을 유지하며, 후손들이 자신의 뿌리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경주김씨 계림군파의 항렬표는 오늘날에도 많은 가문에서 중요한 전통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가문의 일원들이 서로의 연결성을 인식하고 존중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목차